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1-06-09 13:08:25
  • 수정 2021-06-09 13:21:30
기사수정

▲ 기획재정부는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와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을 다방면으로 활성화하고 있다. 사진은 기획재정부 홍남기 부총리가 호텔 리모델링 청년주택인 서울 영등포 아츠스테이를 방문해 정책현장을 점검한 후 청년위원, 입주자 등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하는 모습이다. (사진 출처: 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가 경제를 가르치는 ‘디지털 도서관 사업’ 착수에 박차를 가하며, ‘경제교육 디지털도서관’ ISP(정보전략계획) 사업 입찰로 교육 양극화 해소를 지원한다.


그동안 교육계 일각에서 “경제교육 인프라가 부족한 지방의 학교, 평생교육기관에서는 활용을 많이 할 수 있는 정책과제”라는 평가를 받으며,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개학을 상시화하고, 양질의 콘텐츠로 교육 양극화를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경제교육 디지털 도서관’은 AI 기술을 통해 디지털 도서관에 가입한 수요자의 학습성향을 분석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학습 이후 학습자의 경제교육 데이터를 분류하고 플랫폼 이용자(교육대상)별로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정부는 기존 온라인 교육 포털 ‘경제배움-e(기획재정부 경제교육포털)’와 차별점을 확보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을 활용해 학습 수요자 맞춤형 콘텐츠를 구축할 방침이다.


현재 ‘경제배움-e’는 동영상, 웹툰 등 콘텐츠를 게시하거나 LMS(온라인으로 학생들의 성적과 진도, 출석 등을 관리해주는 시스템)를 이용한 교육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LMS 대상이 교사·강사에 한정돼 전 국민 대상으로는 교육 제공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번 사업은 기존 경제교육 인프라와 달리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과 협력하는 ‘개방형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사업제안서에 따르면 경제교육 디지털 도서관은 아카이브(정보창고) 콘셉트를 넘어 양방향 교육을 고안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용자가 체감하는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도록 진행한다. 특히 AI·증강현실(AR)·VR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반영, 구축할 방침이다.


무엇보다 정부는 디지털 도서관 구축에 있어 신기술을 개발보다 활용할 교육 콘텐츠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민간과 도서관 플랫폼에서 활용할 콘텐츠를 두고 논의를 지속할 예정이다.


특히 공공·민간 등 유관기관의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교육 콘텐츠 질을 높이기 위해 경제교육단체협의회, 한국개발연구원(KDI) 등과 협조하는 방안도 구상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ISP 사업 기간까지 고려하면 내년 상반기 내에는 구축이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경제교육 디지털도서관’이 비대면 등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대응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khrd.co.kr/news/view.php?idx=505253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최신뉴스더보기
내부배너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