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병전 대표] 마인드풀니스를 통한 마음경영
-
마인드풀니스(이하 mindfulness), 즉 마음챙김은 자신의 마음을 해킹하는 가장 쉽고 빠른 기술이다. 자신을 있는 그대로 보는 메타인지라고 할 수 있다. 마음챙...
-
2018-03-29
₩1,500
-
- [장경원 교수] 성공적인 PBL을 만드는 튜터의 역할
- PBL의 성공 여부는 교수자가 그 역할을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 PBL에서는 교수자를 튜터라 부른다. PBL 모형을 제안한 Barrows는 튜터에게 요구되는 여러 가지...
-
2018-03-29
₩1,500
-
- [정종필 교수] 제조업 혁신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방안
- 자동차 회사가 아니지만, 구글은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구글카를 2012년에 런칭해서 수십억 달러의 자산 가치를 상승시켰다. IBM 왓슨도 시작은 퀴즈 프로그...
-
2018-03-28
₩1,500
-
- [COLOSSEUM] 세대 변화를 아우르는 소통과 협업의 조직문화 실현
-
어느 조직이나 마찬가지겠지만, 공공조직에서도 ‘조직문화’는 해마다 중요한 교육적 화두가 된다. 작년 한 해 동안 향후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실행하는 ...
-
2018-03-28
₩1,500
-
- [신동엽 교수]‘혁명’과 ‘역모’의 차이는 사람이 만든다!
-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4차 산업혁명(The 4th Industrial Revolution)’으로 부르고 미국 등 서구에서는 ‘디지털 변혁(digital transformation)’으로 지칭되...
-
2018-03-05
무료
-
- [윤정구 교수] 일의 직접동기와 간접동기 통찰 진성리더십과 제도화의 철창
- 진성리더가 지속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이유는 구성원들의 직접동기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승진, 연봉, 평가는 일을 열심히 하게 하기 위한 간접동기이지 직...
-
2018-03-05
₩1,500
-
- [정종필 교수] 소프트 파워를 실현하는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기술 트렌드
- 우리는 알파고에서 촉발된 인공지능 기술을 산업전반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자주 접하게 되었다. ‘기존 일자리가 상당수 없어지고 새로운 일자리가 많이 ...
-
2018-03-05
₩1,500
-
- [장경원 교수] PBL의 핵심인 문제의 특성과 문제개발 전략
- PBL에서의 문제는 지식을 그대로 적용하는 교과서나 교재의 연습문제와는 성격이 다르다. 대부분의 교수자들이 처음 PBL을 적용하고자 할 때 겪는 가장 큰 어려...
-
2018-03-05
₩1,500
- 최신뉴스더보기
-
-
- SK하이닉스, 사회적 기업과 시민과학자 위한 AI 교육 'AI for Impact' 신설
- SK하이닉스는 사회적 기업과 환경·안전·보건 분야 시민과학자의 인공지능(AI)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AI for Impact'를 신설하고, 서울 성동구 성수동 헤이그라운드(성수시작점)에서 론칭 행사를 열었다고 지난 5월 14일 밝혔다.AI for Impact는 사회문제 해결에 AI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SV) 창...
-
- 한국맥도날드, 메타버스 기반 참여형 교육 개최
- 한국맥도날드는 식품안전 가치를 공유하기 위한 '푸드 세이프티 타운홀'을 개최했다고 지난 5월 14일 밝혔다.올해로 9회째를 맞은 이번 타운홀은 전국 매장의 매니저, 점장, 본사 임직원과 협력사가 함께 참여해 식품안전 교육을 받고, 실천 사례와 향후 계획을 공유하는 자리다. 2022년부터 메타버스 플랫폼을 도입해 운영되고 있다.올...
-
-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 '2025 인차이나 시민아카데미' 종강
-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 5월 15일 ‘2025 인차이나 시민아카데미’의 종강식을 개최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종강식에는 수강생을 비롯한 인천시 국제협력국, 인천연구원, 인천대 중국학술원 관계자 등 약 40여명이 참석해 그동안의 배움의 과정을 돌아보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2025 인차이나 시민아카데미’는 인천..
-
- [엄준하 발행인] 기업교육, 직무중심으로···.
- 기업교육, 직무중심으로···.성과를 만드는교육의 재설계가 필요합니다기업교육은 오랫동안 ‘인간개발’이라는 고유 목적을 추구해 왔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기업 환경은 교육을 성장을 위한 단편적 수단이 아닌, 직무성과를 위한 전략적 투자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특히, ‘직무중심’ 교육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조직의 생존과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