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정구 교수] 목적경영으로 짚어보는 진성리더십의 충분조건
-
진성리더란 진짜 리더로서의 성정, 즉 성품과 정서를 갖춘 리더를 말한다. 진성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리더십의 필요충분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리더의 필...
-
2018-01-02
₩1,500
-
- [장경원 교수] 학습자의 참여와 협업이 있는 PBL의 정의와 절차
-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은 문제를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PBL은 문제로부터 학습이 시작되고, 학습자...
-
2018-01-02
₩1,500
-
- [황농문 교수] 성공 방정식을 풀어내며 인생의 오르막길을 가는 방법
-
성공과 탁월함을 추구하는 삶이란 확률적으로 구현하기 힘든 상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엔트로피를 낮추는 삶(월간HRD 12월호 엔트로피 법칙과 삶 참조), 즉...
-
2018-01-02
무료
-
- [릭 워츠맨 소장] 피터 드러커가 주시했던 제대로 기능하는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
로자베스 모스 캔터 하버드대학교 교수는 피터 드러커 교수를 소위 ‘경영 이상주의자’라 얘기한 바 있다. 캔터 교수가 드러커 교수의 업적을 높이 평가...
-
2018-01-02
₩1,500
-
- [신범석 대표] 공정하고 체계적인 잣대를 적용하라 인게이지먼트와 인사평가
-
회사와 자신의 업무에 직원들이 진정으로 ‘참여’하려면, 공정한 인사평가 기준과 실제로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인사평가기준이 없으면 평가...
-
2018-01-02
₩1,500
-
- [일생경영학교] 전략적인 통찰로 품격 있는 일생을 경영하라
-
인생(人生)이라는 우리의 삶도 회사 경영과 다를 바 없다. 성공적인 경영을 위해서는 소유한 자원을 전략화하고, 목표를 계획(Plan)하고, 실행(Do)하고, 평가(C...
-
2018-01-01
무료
-
- [COLOSSEUM] HRD 4.0 여명을 밝히다 2018 HRD 대토론회를 다녀와서
-
한국HRD협회 주관의 ‘2018 HRD 대토론회’를 방청하는 기회를 가졌다. 국내 HRD 관련 학자, 각 기업의 연수원장, HRD 기관의 대표, 그리고 각 기업의 HRD 실무자들...
-
2017-12-30
₩1,500
-
- [이상민 교수] 미래인재전략
-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 기업의 혁신적인 도약 가능성은 미래의 인재전략에 달려 있다는 점에 많은 기업들이 동의한다. 그러나 미래의 인재를 확보하고 유지...
-
2017-12-03
무료
- 최신뉴스더보기
-
-
- SK하이닉스, 사회적 기업과 시민과학자 위한 AI 교육 'AI for Impact' 신설
- SK하이닉스는 사회적 기업과 환경·안전·보건 분야 시민과학자의 인공지능(AI)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AI for Impact'를 신설하고, 서울 성동구 성수동 헤이그라운드(성수시작점)에서 론칭 행사를 열었다고 지난 5월 14일 밝혔다.AI for Impact는 사회문제 해결에 AI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SV) 창...
-
- 한국맥도날드, 메타버스 기반 참여형 교육 개최
- 한국맥도날드는 식품안전 가치를 공유하기 위한 '푸드 세이프티 타운홀'을 개최했다고 지난 5월 14일 밝혔다.올해로 9회째를 맞은 이번 타운홀은 전국 매장의 매니저, 점장, 본사 임직원과 협력사가 함께 참여해 식품안전 교육을 받고, 실천 사례와 향후 계획을 공유하는 자리다. 2022년부터 메타버스 플랫폼을 도입해 운영되고 있다.올...
-
-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 '2025 인차이나 시민아카데미' 종강
-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 5월 15일 ‘2025 인차이나 시민아카데미’의 종강식을 개최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종강식에는 수강생을 비롯한 인천시 국제협력국, 인천연구원, 인천대 중국학술원 관계자 등 약 40여명이 참석해 그동안의 배움의 과정을 돌아보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2025 인차이나 시민아카데미’는 인천..
-
- [엄준하 발행인] 기업교육, 직무중심으로···.
- 기업교육, 직무중심으로···.성과를 만드는교육의 재설계가 필요합니다기업교육은 오랫동안 ‘인간개발’이라는 고유 목적을 추구해 왔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기업 환경은 교육을 성장을 위한 단편적 수단이 아닌, 직무성과를 위한 전략적 투자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특히, ‘직무중심’ 교육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조직의 생존과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