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등의 원인은 무엇인가
미국 교육사 100년을 담은 데이터를 통해 포착한
교육 확대와 기술혁신, 격차의 인과관계
교육과 기술의 경주
클라우디아 골딘·로렌스 F. 카츠 지음
김승진 옮김
생각의힘 펴냄
급속한 기술 발전에 교육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인류의 번영을 위한 테크놀로지 발전이 지금은 오히려 인류에게 위협이 되고 있다. 사람의 숙련된 기술을 모방 혹은 대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사회적 불평등도 심화되고 있다. 이런 현상의 원인을 저자들은 교육이 기술과의 경주에서 뒤처졌기 때문이라고 짚으며 급속한 기술 발전에 따른 노동과 일자리 변화에 대처할 교육의 역할을 모색한다.
▶저자소개
클라우디아 골딘(Claudia Goldin)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경제사학자이자 노동경제학자로서, 역사적 고찰을 통해 현재 이슈들의 기원을 탐구하면서 여성 노동력, 성별 소득 격차, 소득 불평등, 기술 변화, 교육, 이민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1990년에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최초로 여성 종신교수로 임명되었으며, 2013년에는 전미경제학회(AEA) 회장을 역임했다. 1989년부터 2017년까지 전미경제연구소(NBER)의 ‘미국 경제 발전(Development of the American Economy)’ 프로그램의 디렉터를 지냈으며 현재 NBER ‘경제에서의 젠더(Gender in the Economy)’ 연구 그룹을 공동으로 이끌고 있다. 2023년 “성별 임금 격차의 핵심 원인을 밝혀냈다”는 평가를 받으며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커리어 그리고 가정》이 있다.
로렌스 F. 카츠(Lawrence F. Katz)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캠퍼스에서 석사, MIT에서 박사를 취득한 노동경제학자이다. 1993년부터 1994년까지 미국 노동부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일했다. 또한 1991년부터 《계간 경제학 저널(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의 편집위원이기도 하다. 경제활동으로 인해 생기는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글로벌화나 기술 혁신, 이민과 제도, 정책 등 다양한 시점에서 임금 구조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책속으로
기술변화는 승자와 패자를 만들어낼 수 있다. 분배 문제는 기술변화가 숙련편향적일 때, 즉 새로운 기술이 교육 수준과 숙련 수준이 더 높은 노동자에 대한 상대적 수요를 증가시킬 때 발생하기 더 쉽다.
테크놀로지가 발달하면서 한 나라의 경제는 확장되지만 어떤 이들의 소득이 다른 이들의 소득보다 현저히 더 많이 증가할 수 있다. 노동자들이 유연한 숙련기술을 가지고 있고 교육 인프라가 충분히 발달해 있다면 숙련의 공급이 수요가 증가할 때 함께 증가할 것이다. 그러면 경제성장과 숙련 프리미엄의 균형이 맞을 것이고 경주에서 기술과 교육 중 어느 쪽도 승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번영이 널리 공유될 것이다. 외부적 요인이 숙련 수요와 공급에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다. 숙련의 분포에서 바닥 쪽에 있는 이주 노동자들이 비례적인 수준 이상으로 유입되면 그들과 가장 가까운 대체 관계인 노동자들의 소득이 큰 영향을 받을 것이다. 국제무역 패턴의 변화와 오프쇼어링도 숙련에 대한 수요를 변화시킬 수 있다 439P, 8장 「교육과 기술의 경주」